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계산기의 MC, MR, M-, M+ 사용법 (전산회계, 재경관리사, 공인중개사 등 시험볼 때 유용한 꿀팁)

by 달니버 2023. 6. 2.

계산기의 MC, MR, M-, M+ 기능

안녕하세요. 오늘은 사소하지만 알아두면 활용하기 좋은 계산기의 기능 중 하나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. 요즘에는 스마트폰이 있어서 일반 계산기는 이전만큼 잘 사용하지 않는다고는 하나, 아직도 회계, 세무 등의 계산이 필요한 시험장이나 회사에서 관련 업무를 하실 때는 아직 일반 계산기를 많이 사용하십니다. 이번 글에서는 계산기에서 숫자 버튼 상단에 보이는 MC, MR, M-, M+ 버튼의 기능에 대해서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
 

MC-MR-M--M+-버튼이-있는-계산기-사진
MC, MR, M-, M+ 버튼이 있는 계산기 사진

계산기의 MC, MR, M-, M+ 는 간단하게 말하자면 '계산 기억' 기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숫자를 입력하고 M+ 버튼을 누르면 계산기 상에 기억(Memory)이 됩니다. 또한 다른 숫자를 입력하고 계산한 후에 M+ 버튼을 또 누르면 이전에 기억시켜 놓은 값에 지금 입력한 값이 더하기(+)가 되는 것입니다. 반대로 M- 버튼을 누르면 기억된 값에 빼기(-)가 됩니다.

 

그렇다면 기억되어 축적된 값은 어디서 확인이 가능할까요? 바로 MR 버튼이 그 역할을 합니다. 지금까지 M+ 와 M- 버튼을 누름으로써 기억시켜 놓았던 계산 값을 보여주는 것이죠. 축적된 계산 값을 지우고 새로운 계산을 기억시키고 싶다면 MC 버튼을 눌러 MR에 저장되었던 모든 산식을 삭제해 주시면 됩니다.

 

그렇다면 MC, MR, M-, M+ 버튼의 사용법을 실제 간단한 계산식을 통해 확인해 보겠습니다. 아래와 같은 식을 계산해야 한다고 예를 들겠습니다.

 ● {(180 x 4) + (55 ÷ 5) - (150 x 2)}

위 식을 기존의 숫자판만을 이용해 계산을 한다면 (180 x 4)와 (55 ÷ 5)를 따로 계산해 더하고 (150 x 2)를 또 따로 계산해 빼줘야 하는 과정이 필요했을 겁니다. 예시이기 때문에 간단한 식을 사용했지만 시험에서 복잡한 식이 나왔다면, 먼저 계산한 식을 종이에 적고 또 계산해서 적고 하면서 계산을 해나가야 할 것입니다. 이렇게 되면 손도 연필을 쥐었다가 계산기를 쳤다가 왔다 갔다 해야 하고 시간도 좀 더 걸리게 되겠죠.

 

같은 식을 MC, MR, M-, M+ 버튼을 활용한다면 이렇게 될 것입니다. (180 x 4)를 구한 다음 M+ 버튼을 눌러 저장을 해줍니다. 다음 (55 ÷ 5)를 계산한 다음 마찬가지로 M+ 버튼을 누릅니다. 마지막으로 (150 x 2)를 눌러 계산한 다음 빼기 계산이므로 이번에는 M- 버튼을 누른 후 MR을 눌러 최종 계산 값을 확인하시면 됩니다. 다음 식을 계산해야 할 때는 MC를 눌러 저장된 계산 값을 삭제하고 다시 처음부터 계산합니다.

 

지금까지 계산기의 MC, MR, M-, M+ 버튼의 사용법과 실제 식을 이용한 활용법을 소개해드렸습니다. 계산기를 사용하시면서도 해당 버튼의 사용법을 모르고 계셨을 수도 있는데요. 특히 전산회계, 재경관리사, 공인중개사 등 일반 계산기가 필요한 시험장에서 이 작지만 유용한 꿀팁을 활용하신다면 계산하는 시간을 크게 단축하실 수 있을 겁니다. 하시는 일이 무엇이든 잘 되시기를 바라며 이만 줄이겠습니다. 감사합니다.

댓글